블로그는 기본적으로 RSS가 생성되어 검색봇이 읽어 들여 검색엔진에 자동으로 노출되긴 하지만, 모든 글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무작위로 수집하는 검색 봇만 기다리기 보다는 직접 검색엔진에 RSS를 등록해서 검색엔진이 쉽게 내 글을 읽어 갈수 있게 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볼 수 읽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.
특히나 유입량이 많은 국내 포털사이트에 RSS 등록은 필수이므로, 검색엔진에 RSS 피드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.
• 티스토리 : http://블로그 주소/rss
• 네이버 : http://블로그 주소.xml
• 이글루스 : rss.egloos.com/blog/본인 아이디
1. 네이버 RSS 등록 [바로가기]
2. 다음 RSS 등록 [바로가기]
다음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는 굳이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.
3. 구글 RSS 등록
구글은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제시한 방법을 모두 하실 필요는 없지만 한가지만 하셔도 아마 구글 검색결과에 반영 될겁니다.
① 구글 블로그 검색 추가 [바로가기]
구글 블로그 검색의 RSS 등록신청 페이지입니다. 그냥 RSS주소만 입력만 하면 됩니다. 정말 간단합니다.
② 구글 웹마스터 도구 - URL 크롤링 [바로가기]
URL 크롤링 신청페이지입니다. ①번 블로그검색에 RSS 신청한 경우 구글의 ‘블로그 검색’섹션에 반영해달라는 요청인 반면 URL 크롤링은 구글 검색봇이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서 읽은 후 구글 검색결과에 반영해달라는 요청으로 보시면 됩니다.
정확히는 블로그보다 사이트 등록에 가깝지만 여기에 RSS 주소를 입력하셔도 무방합니다. RSS 주소를 입력하고, 스팸방지 문자입력란에 두 단어를 입력한 후 ‘요청 제출’ 하시면 됩니다.
만약 구글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하신다면 웹마스터 도구의 Sitemaps을 제출해주셔도 좋습니다. 구글봇이 내 사이트를 더 잘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를 제공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.
4. 야후 RSS 등록 [바로가기]
5. 줌 RSS 등록 [바로가기]
마지막으로 네이트는 ‘블로그독’ 폐쇄 이후에 별도의 RSS 등록신청란이 없으며, 파란도 마찬가지입니다. 네이트와 파란에 굳이 등록하실거면 일반 사이트 등록신청은 가능합니다.
♦ 네이트 홈페이지 등록 : [바로가기]
♦ 파란 홈페이지 등록 : [바로가기]
각 검색엔진마다 등록 신청을 하면 2~5일 내에 승인여부를 심사하여 그 결과를 이메일로 답변합니다. 기간이 너무 오래 걸릴 경우 반복해서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. :)
'TBlog > Blog Marketing / SE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블로그 사이드바에 애드센스 광고 넣기 (0) | 2012.04.16 |
---|---|
구글 애드센스 광고 설정 및 광고코드 생성하기 (0) | 2012.04.10 |
메타블로그 믹시 (mixsh)에 블로그 RSS 등록하기 (1) | 2012.04.05 |
메타블로그 RSS 등록으로 블로그 방문자수 늘리기 (0) | 2012.04.04 |
구글 웹마스터 도구 시작하기 - 사이트 등록 및 소유자 확인 (1) | 2012.04.02 |